확대 l 축소

헬레나 파라다 김이 그리는 ‘한복, 그리고 한국’

독일 현대 미술 작가 헬레나 파라다 김, 한국서 안드레아스 블랑크와 2인전
헬레나 파라다 김, 선애의 치마, 140x180cm, 2017
이국적 외모의 여성이 머리를 쪽진 채 한복을 입고 바닥을 살짝 내려다보고 있다. 그 왼쪽에는 비슷한 생김새의 평상복 차림 여성이 소파에 걸터앉아 관람객을 응시한다.

‘자매’(2009)를 그린 독일의 현대미술 작가 헬레나 파라다 김(36)은 한국인 파독 간호사인 어머니와 스페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나 독일 쾰른에서 자랐다.
작가가 어머니의 옷장에서 오래된 한복을 발견하고 감동한 것이 10여 년 전이었다. 당시 초상화 작업을 주로 하던 작가는 한복을 입은 어머니의 초상을 그려보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

“어머니처럼 독일에 온 한국 여성들은 대부분 조국에서 갖고 온 한복을 갖고 있어요. 한복이 너무 아름답더라고요. 한복은 한국의 유산, 문화적 정체성을 표현해낸다고 생각해요.” 
작가는 그때부터 전통 한복과 그 옷을 걸쳤던 사람들의 다양한 사연을 주제로 한 작업에 뛰어들었다. 작품마다 그 한복을 입었던 사람들의 이름을 제목으로 붙였다.

작가가 서울 종로구 삼청동 초이앤라거 갤러리 서울에서 독일 조각가 안드레아스 블랑크와 함께 여는 2인전에도 한복 연작이 여러 점 나왔다.  흰 저고리와 감색 계열의 치마를 입은 얼굴 없는 여성의 초상인 ‘성자 Ⅱ’는 고인이 된 이모를 기리는 작품이다. 한복을 입은 두 어린이를 그린 ‘세나와 라파엘’의 실제 주인공은 두 조카다.

작가는 “특히 세상을 떠난 사람들이 생전에 입었던 한복을 그리면서 실존과 죽음을 고민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헬레나 파라다 김은 현대 회화 작가로서는 드물게 옛 서양 거장들의 회화 스타일을 고수한다.

한국적 소재를 서양화의 전통적인 기법으로 풀어낸 점이 흥미롭다. 아버지와 함께 자주 찾았던 스페인 프라도 미술관에서 보았던 작품들이 큰 영향을 미쳤다.
 안드레아스 블랑크는 고대 그리스와 르네상스 조각에 쓰인 전통적인 재료들을 활용해 종이비행기, 플라스틱 봉투, 하얀 와이셔츠 등 일상의 오브제를 만들어낸다.
전광민 기자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