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당국자가 ‘에이즈, 결핵 및 말라리아 퇴치를 위한 세계기금’(The Global Fund to Fight AIDS, Tuberculosis and Malaria·이하 세계기금)의 최근 대북 지원중단 조치에 항의하는 편지를 보낸 사실을 조선중앙통신이 13일 보도했다.
중앙통신에 따르면 김형훈 북한 보건성 부상은 피터 샌즈 세계기금 집행국장에게 지난 10일 보낸 편지에서, ‘현 주기 세계기금의 협조를 2018년 6월 30일까지 종결하게 된다’는 내용의 지난달 22일 자 편지를 마크 에딩턴 세계기금 자금관리국장으로부터 받았다고 언급했다.
김 부상은 “급작스러운 이번 협조중단 조치를 기금 측이 주장하는 우리나라의 ‘특수한 협조환경’ 때문이 아니라 인도주의 협조를 정치화하려는 일부 세력들의 압력에 의한 것으로밖에 달리 볼 수 없다”고 비판했다.
그는 “결핵, 말라리아 근절을 위한 사업에서 일정하게 효과를 보고 있는 현 단계에서 기금 측이 그 후과에 대해서는 아랑곳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협조중단을 통지해온 것은 매우 비정상적이며 비인도주의적인 처사”라며 “이제라도 인도주의 사명에 맞게 이 문제를 바로 잡기 위한 대책을 세울 것을 강력히 요구한다”고 밝혔다.
세계기금은 지난 2002년 에이즈, 결핵, 말라리아의 예방과 치료를 위해 설립된 국제기구로, 지난달 21일 자원 배치와 지원의 효율성에 대한 보장 및 리스크 관리가 요구되는 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며 “결핵과 말라리아에 대한 대북 지원금을 중단한다(closing grants)”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최근 북한에 대한 지원을 중단한 ‘에이즈, 결핵 및 말라리아 퇴치를 위한 세계기금’(이하 세계기금)이 지금보다 높은 수준의 투명성이 보장돼야 대북지원을 재개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미국의소리(VOA) 방송이 16일 보도했다.
세계기금의 시스 페이존 수석 공보관은 15일(현지시간) VOA에 “향후 북한에 대한 지원이 재개되길 바란다”며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자원 배치와 지원의 효율성에 대한 훨씬 높은 수준의 투명성과 보장, 위험관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세계기금은 지난 2002년 에이즈, 결핵, 말라리아의 예방과 치료를 위해 설립된 국제기구로, 지난달 21일 북한 내 자원 배치와 지원의 효율성에 대한 보장과 위험관리가 요구 수준에 미치지 못한다며 대북지원 중단을 발표했다.
이에 김형훈 북한 보건성 부상은 피터 샌즈 세계기금 집행국장에게 지난 10일 편지를 보내 “결핵, 말라리아 근절을 위한 사업에서 일정하게 효과를 보고 있는 현 단계에서 기금 측이 그 후과에 대해서는 아랑곳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협조중단을 통지해온 것은 매우 비정상적이며 비인도주의적인 처사”라며 항의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13일 보도했다.
세계기금은 지난 2010년부터 작년까지 북한 내 결핵 및 말라리아 퇴치를 위해 총 1억300만 달러를 지원했다고 VOA는 전했다.
한편 북한 내 보건 증진 활동을 펴고 있는 미국의 한인 의사들은 14일(현지시간) 국제 의학 학술지 랜싯에 기고한 공개서한을 통해 글로벌 펀드의 중단 조치로 기존 약물들로 치료가 안 되는 다제내성 결핵 환자와 말라리아 환자가 급증해 치료할 수 있었을 환자의 사망이 늘어날 뿐 아니라 국경을 넘어 중국과 한국의 공중보건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지원 재개를 촉구했다.
글로벌 펀드는 지난 2010년 이래 지금까지 WHO와 유니세프가 북한 보건성과 협력해 벌이는 결핵과 말라리아 퇴치 활동에 1억 달러 이상의 자금을 지원했다. 글로벌 펀드는 지난 2000년 일본에서 열린 G8 정상회의에서 처음 창설이 논의돼 유엔 총회 논의를 거쳐 2002년 공식 창설됐으며 매년 40억 달러의 기금을 모아 전 세계의 에이즈, 결핵, 말라리아 퇴치 활동을 돕고 있다. 조둘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