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가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자살위험을 예측하는 등의 혁신적인 정신건강 기술 개발에 착수했다.
복지부는 10일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산하 ‘헬스케어 특별위원회’에 이런 내용을 담은 ‘스마트 정신건강 기술개발’ 계획을 보고했다고 밝혔다.
복지부는 정신질환의 막대한 사회경제적 부담과 국민 4명 중 1명이 경험하는 정신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 자살위험 예측기술 ▲ 지능형 정신건강 상담기술 ▲ 노인마음 돌봄기술 ▲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정착지원기술 ▲ AI 기반 정신건강기술 플랫폼 등 5개 영역에서 기술 개발을 추진한다고 설명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지난해 연구에 따르면, 2015년 기준 정신질환의 사회경제적 부담은 정신행동장애(치매제외)가 7조7539억원, 자살이 6조4480억원으로 전체 질병의 사회경제적 부담 148조2514억원의 9.6%를 차지했다.
복지부는 자살징후의 조기발견, 거부감 없는 정신건강 진단·관리, 정신질환자의 사회복귀 등을 돕는 정신건강 기술기반이 마련되면, 자살 고위험군의 자살률이 현재 0.7%에서 0.35%로 감소할 것으로 예측했다. 또 우울증 등 정신질환 이환 시 정신건강서비스 이용률이 16.9%에서 50%로 향상되고, 등록 정신질환자 취업률이 8.3%에 15%로 증가할 것으로 기대했다.
헬스케어 특위는 스마트 헬스케어, 신약·의료기기 혁신, 사회문제 해결, 규제·인프라 정비 등 핵심 프로젝트를 발굴하고 연구개발, 시장진입, 제도개선, 인력양성 등을 심층 논의하는 기구다.
-
글쓴날 : [2018-05-16 17:53:56.0]
Copyrights ⓒ 노년신문 & oldagenew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