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중국 간 무역전쟁이 격화하는 가운데 생산과 투자, 소비, 실업률 등 중국의 주요 경제 지표가 예상보다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전문가들은 미국과 무역전쟁이 서서히 중국 실물 경제에 부담을 주면서 경제 지표가 악화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분석했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14일 1∼7월 고정자산투자가 작년 동기보다 5.5% 증가했다고 밝혔다. 시장 전망치는 1∼6월 증가율과 같은 6.0%였는데 이에 크게 미치지 못했다.
고정자산투자 증가율이 5%대로 떨어진 것은 중국에서 통계가 있는 1995년 이후 처음이다.
중국의 전년 대비 고정자산투자 증가율은 작년까지 7∼8%대를 유지하다 올해 들어 6%대까지 낮아진 상태다.
7월 소매판매도 작년 같은 달보다 8.8% 증가해 시장 전망치인 9.1%와 전월 증가율 9.0%에 모두 미치지 못했다.
아울러 중국의 7월 산업생산은 작년 동기보다 6.0% 증가해 전달 상승률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그러나 이는 시장 전망치 6.3%에는 미치지 못한 것이다.
반면 실업률은 시장 전망치인 4.8%보다 높은 5.1%를 기록했다.
지난 8일 중국의 무역 지표가 발표됐을 때까지만 해도 미중 간 수출입액이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무역전쟁 영향은 아직 미미한 것으로 평가됐다.
그러나 이번에 투자, 소비에 걸쳐 중국 경제 지표 전반이 악화한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향후 미중 무역전쟁 확전에 따라 중국 경제성장이 더욱 둔화할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는 분위기다.
미국과 중국은 이미 500억달러 규모의 상대국 제품에 25%의 고율 관세를 부과했거나 곧 부과하기로 확정한 상태다.
여기에 미국은 추가로 2천억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최대 25%의 관세를 매길 수 있다고 중국을 압박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그러나 고정자산투자 증가율 둔화 등 일부 경제 지표 악화는 일시적 현상이라면서 하반기 하방 압력이 높지는 않다고 진단했다.
류아이화(劉愛華) 중국 통계국 대변인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중앙 정부가 지방의 무분별한 인프라 투자를 막으려고 심사를 강화하면서 고정자산투자 증가율이 둔화했지만 하반기부터는 인프라 투자가 정상화되면서 지표도 회복될 것으로 전망했다.
앞서 중국 정부는 미국과의 무역전쟁 확전, 경기 둔화 흐름에 대응해 지급준비율을 하향 조정해 중소기업 등에 유동성 공급을 확대하고 대규모 인프라 건설에도 나서기로 한 상황이다.
장리췬(張立群) 국무원 발전연구센터 연구원은 “정책 수단을 통해 경기 하방 압력을 곧 제거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며 “경제 성장 안정성이 하반기에는 명확히 제고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성수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