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수급자 대부분이 은퇴 이후 생활 수준이 쪼그라들면서 소득계층 이동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유로운 노후 생활을 위한 적정생활비도 월평균 264만원으로 조사됐으나 그만큼 생활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은퇴자는 10명 중 2명에 불과했다.
노령연금 수급자의 약 80%는 월 50만원이 안되는 연금을 받고 있는 등 노후 생활비 마련은 턱없이 부족한 상황으로 파악됐다. 그나마 모아놓은 금융자산도 평균 82세가 되면 소진될 것으로 예상됐다.
지난달 22일 하나금융경영연구소가 펴낸 ‘국내 국민연금 수급자의 은퇴생활 보고서’에 따르면 국민연금 고령 수급자 중 수입 감소로 생활 수준이 현역 대비 하락했다고 답한 응답자가 전체의 99.4%에 달했다.
특히 현역시절 대비 50% 미만 줄었다고 답한 비중이 48.6%로 가장 많았다. 지금도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는 응답 비중은 0.6%로 미미했다.
이는 연구소가 국민연금 수급자(65세~74세) 650명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다.
현역 시절 상류층에 속한다고 생각한 은퇴자의 81.3%는 은퇴 이후 소득계층이 중산층으로, 6.3%는 저소득층으로 이동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중산층의 25.9%는 소득계층이 저소득층으로 내려갔다고 생각했다.
국민연금 수급자가 생각하는 적정 노후생활비용은 264만원(가계기준 283만원)이었으나 실제 쓰고 있는 비용은 월평균 201만원으로 집계돼 이상과 현실의 괴리가 컸다. 적정 생활비 수준 이상 쓰고 있는 비중은 18.5%에 그쳤다. 노후 생활비는 예·적금(50.2%)에서 가장 많이 충당됐고 근로소득(42.6%), 자식·친척 지원(32.6%) 순으로 조사됐다.
국민연금 수급액이 차지하는 비중은 25.3%로 큰 보탬이 되진 않는 것으로 분석됐다. 실제 지난해 기준 노령연금 수급자 중 75.7%는 50만원 미만의 급여를 받았다. 100만원이 넘는 경우는 5.3%에 불과했다.
노령연금 수급자의 평균 급여액은 20년 이상 가입 기준으로 91만1000원이었다.
보유하고 있는 금융자산도 맞벌이(81세)나 외벌이(82세) 등 큰 편차없이 평균 82세가 되면 소진될 것이라고 은퇴자들은 전망했다.
전반적인 노후준비는 미흡한 수준으로 조사됐다. 향후 은퇴생활을 위한 노후자금 수준에 대해 전체의 49.8%는 보통으로 생각했고 26%는 불충분하다고 답했다.
그러나 향후 자금원 보유 여부에 대해 절반 이상인 52.6%가 없다고 응답했다. 자녀에게 부양을 기대하는 비중도 33.8%로 높게 나타나는 등 적극적으로 노후자금 마련 방안을 모색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퇴직 후에도 일 손을 놓지 못하는 경우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연금 수급자의 퇴직 후 소득활동 참가율은 42.3%에 달했고 이중 남성의 62.8%, 여성의 21.8%가 소득활동을 계속했다.
희망하는 은퇴 시기는 평균 74.7세였다. 퇴직 후 소득활동을 지속하는 이유로는 '경제력 부족'을 꼽은 비중이 56.8%로 가장 많았고 그중 생활비 마련 목적이 47.3%로 집계됐다.
이희곤 기자
-
글쓴날 : [2019-04-30 17:29:07.0]
Copyrights ⓒ 노년신문 & oldagenew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