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취업자 수가 17만1000명 늘어났다. 실업률은 4.4%로 2000년 통계가 작성된 이래 가장 높았다.
15일 통계청이 발표한 ‘4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703만8000명으로 1년 전보다 17만1000명 증가했다.
지난 2월 26만3000명, 3월 25만명을 기록하는 등 2달 연속 20만명 이상의 증가폭을 보이다가 3달 만에 20만명 아래로 가라앉았다. 도매 및 소매업 취업자 수가 큰 폭으로 감소하고 지방직 공무원 접수기간의 영향으로 실업자 수가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산업별로 보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은 취업자가 12만7000명(6.2%) 늘었다. 교육서비스업은 5만5000명(3.0%),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은 4만9000명(4.5%) 증가했다.
반면 도매 및 서비스업 취업자는 7만6000명(-2.0%) 감소했으며 산업시설관리·사업지원 및 임대서비스업도 5만3000명(-3.9%) 줄었다. 감소 폭은 줄어들었지만 제조업 역시 5만2000명(-1.2%) 줄어들며 감소세를 보였다. 건설업의 취업자도 3만명 감소하며 1년 전보다 1.5% 줄어들었다.
정동욱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도매 및 소매업 취업자가 7만6000명 줄어드는 등 감소 폭이 확대되면서 영향을 받았다. 특히 소매업 중심으로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며 “전반적으로 취업자 수가 늘어난 산업들도 증가 폭이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건설업 취업자 수 감소에 대해 "종합건설 등 큰 공사는 일기에 영향을 받는 부분이 있어 임시 일용직이 축소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제조업과 관련해서는 “반도체, 유·무선 통신장비, 영상장비 들어있는 전자 부품이 계속 마이너스가 지속됐다”고 말했다.
연령별 취업자로 보면 60세 이상(33만5000명), 50대(6만5000명), 20대(2만1000명)에서 각각 증가했으나 40대(18만7000명)와 30대(9만명)에서 감소했다.
직업별로 보면 서비스종사자는 11만2000명(3.8%), 관리자는 6만8000명(19.3%),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5만9000명(1.1%)로 각각 증가했다. 하지만 장치·기계조작 및 조립종사자와 사무종사자가 각각 15만1000명(-4.8%), 2만1000명(-0.4%) 줄었다.
고용률은 60.8%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1%p 하락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도 66.5%로 1년 전보다 0.1%p 떨어졌다.
연령별로 보면 40~49세 고용률은 78.2%로 1년 전보다 0.8%p 줄어드는 등 가장 감소폭이 컸다. 30대와 50대 고용률도 지난해보다 0.2%p씩 감소해 75.8%와 75.5%를 보였다. 15~29세는 42.9%로 1년 전보다 0.9%p 늘었다. 690대 이상은 41.6%, 65세 이상은 33.3%로 각각 1.0%p, 1.3%p 늘어났다.
통계청은 30대와 40대 모두 고용률이 감소한 것에 대해 제조업 감소 지속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했다.
실업자 수는 1년전보다 8만4000명이 증가한 124만5000명을 기록했다. 2000년 통계를 작성한 이래 가장 높은 수치다.
전체 실업률 또한 4.4%를 보이며 2000년 이후 동월 기준 최고 높았다. 청년(15~29세) 실업률 또한 2000년 통계가 작성된 이래 가장 높은 11.5%를 보였다. 1년 전보다 0.8%p 상승한 것이다.
연령별 실업자는 40대(-10.7%)에서 감소했으나 20대(10.8%), 50대(13.7%), 60세 이상(17.9%), 30대(6.0%)에서 증가했다.
체감실업률을 나타내는 고용보조지표3(확장실업률)은 12.4%로 1년 전보다 0.9%p 상승했다.
청년층 고용보조지표3은 2015년 2월 통계를 집계한 이래 최고치인 25.2%다. 지방공무원 접수시기가 3월에서 4월로 늦어지면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해석했다.
지난달 비경제활동인구는 1616만명으로 1년 전보다 6만7000명(0.4%) 증가했다. 재학·수강 등은 15만1000명(-3.9%) 감소했으나 쉬었음은 22만2000명(12.7%) 늘었다. 구직단념자도 48만7000명으로 1년 전보다 2만9000명 늘었다.
기재부는 “취업자 수 증가가 작년에는 9만7000면 수준이었으나 올해는 최근 3개월 연속 연간 목표인 15만명을 상회하는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며 “청년 고용은 취업자 증가세가 지속 확대되고 고용률도 큰 폭으로 상승했다”고 긍정적으로 봤다. 다만 “30~40대 취업자 감소, 경기 하방리스크 확대 등 고용 여건 불확실성은 상존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김성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