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자는 중국의 춘추전국시대 제나라 환공桓公을 모시던 재상 관중管仲과 그 계열의 학자들의 언행록이다.
<목민> 편에 나오는 사유의 유(維)는 일이나 글의 가장 중심이 되는 줄거리 즉 벼리를 의미하는 것으로 나라에는 네 가지 벼리가 있어야 좋은 정치를 할 수 있다고 했다.
그 첫 벼리는 ‘禮’로 그것이 있어야 절도를 넘지 않는다 했다.
절도란 말이나 행동의 적당하고 합당한 정도를 말하므로 예로서 말과 행동을 적당하게 하도록 한다면 그 정치는 무리함이 없는 것이다.
두 번째 벼리는 ‘義’로 벼슬을 하 기 위해 갖은 수단을 사용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저질출세주의자들이 매관매직 등 온갖 불법하고 불의한 방법을 다 동원해 관직을 차지해 정치에 개입한다면 그 나라 정치는 부패하고 국민의 신망을 얻지 못할 것이다.
세 번째 벼리는 ‘廉’으로 악을 감추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공명정대한 정치를 하는 것이다. 신상필벌로 질서를 바르게 하고 사법기능을 제대로 작동시키는 것이다.
악을 감추고 악을 저지르고도 뻔뻔하면 권위도 서지 않고 탈법이 횡행하며 의로운 자들이 설 자리가 없어지므로 정치는 정당성을 잃게 된다.
네 번째 벼리는 ‘恥’로 굽은 것 즉 옳지 못한 것은 좇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정치가 불의에 무디고 불의를 예사로 저지르는 자들이 도당을 지으면 그 정치는 타락하기 마련이고 세력을 유지하기 위해 법을 어기고 민심을 외면하게 된다.
그러므로 옳지 않은 것은 좇지 않는 정치도의와 신조가 확고하게 확립돼 있어야 좋은 정치가 가능하다.
관자에서 경고하기를, 한 벼리가 끊어지면 나라가 기울고, 두 벼리가 끊기면 나라가 위태로워지며, 세 벼리가 끊기면 나라가 전복되며, 네 벼리가 다 끊기면 나라가 멸절된다고 했다.
지금 우리네 정치나 사회에 통하는 벼리를 저 네 벼리에다 비추어 본다.
‘예’에 있어 우리의 그 벼리는 흉하게 변질되고 부패했다. 자식이 학교서 체벌로 매를 맞았다고 학부모가 학교로 달려가 학생들 보는 앞에서 담임선생 뺨을 때리는 세상엔 그 벼리가 말라 죽는 것이다.
대화와 합의를 통한 정치의 본산인 국회에서 국정을 의회 민주절차에 따라 처리함에 있어 정의롭고 합당하게 처리한다면 ‘예’는 살아있는 것이다. 그것은 인간다운 것으로 인간이 반드시 소유해야할 미덕이다.
‘의’는 불의를 배척하는 겻으로 정부는 물론 사회나 개인 모두가 정의를 숭상하고 바르게 말하고 행동하는 것이다.
‘렴’은 청렴함을 이르는데 공직자는 심신이 청렴하여 당당하고, 국민은 자유로우나 정당한 경쟁으로 살며 시장의모든 거래가 건전하고 질서 있게 이뤄져 다툼이 없다.
‘치’는 일체의 부끄러운 짓, 떳떳치 못한 짓을 하지 않는 것이며 국가나 개인이나
명예를 목숨처럼 소중하게 여기는 것이다. 이익을 위해 비루하게 양심을 팔지 않는 것이다. ‘저런 벼리는 지도자나 선생한테만 긴요한 게 아니고 모든 사람에게 반드시 있어야 한다. 젊은 싹수들의 성장에 꼭 필요한 이 벼리공부를 반드시 시켜야 한다.
실로 국민을 행복하게 살도록 정치를 하는 길이 저 사유가 제대로 살아 움직이게 하는 데 있으며, 한 나라가 위태로워지는 게 저 사유 중에 단 한 가지만이 끊기어도 빌미가 된다는 사실이 자못 두렵다.
어찌 나라를 다스림에 있어 저 사유가 항상 살아 움직이게 하는데 최선을 다 하지 않을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