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5월30일 비무장지대(DMZ) 내 화살머리고지 일대에서 완전유해 형태로 발굴된 유해가 고(故) 남궁선 이등중사로 신원이 최종 확인됐다고 국방부가 21일 밝혔다. 사진은 남궁선 이등중사의 모습.(사진=국방부 제공) |
지난 5월30일 비무장지대(DMZ) 내 화살머리고지 일대에서 완전유해 형태로 발굴된 유해가 고(故) 남궁선 이등중사로 신원이 최종 확인됐다고 국방부가 21일 밝혔다.
이번 6·25전쟁 전사자 신원확인은 2000년 4월 이후 133번째이며, 화살머리고지에서 발굴된 유해 중 신원이 확인된 사례는 지난 2018년 10월 고(故) 박재권 이등중사에 이어 두 번째다.
남궁선 이등중사는 1930년 7월1일 강원도 홍천군 동면 월운리에서 1남3녀 중 둘째로 태어났으며, 부모님을 일찍 여의고 어린 시절부터 농사일을 하면서 가족들의 생계를 책임졌다. 일찍 가정을 이뤄 슬하에 1남1녀를 뒀다.
23살이 되던 해인 1952년 4월30일 제2사단 32연대 소속으로 6·25전쟁에 참전했으며, 군인이 된 후 휴가 한 번 나오지 못한 채 전장에서 숨졌다.
전사자 유해 매장 기록지(매·화장 보고서)에 따르면 고인은 소총수로 철원 상석지구 전투에 참가했다. 그러다 정전협정 18일 전인 1953년 7월9일 중공군의 대대적인 공습으로 인한 교전 중 105㎜ 포탄 낙하로 현지에서 전사했다.
고인의 유해는 포탄 파편에 의한 다발성 골절로 인해, 지난 4월12일 우측 팔 뼈만 먼저 화살머리고지 남측 후사면 대피호 지표 위에서 먼저 발견됐다. 고지 후사면은 지뢰제거 및 기초발굴 작업이 진행되는 곳이다.
이후 발굴된 지표에서 바닥까지 1m 이상 굴토하는 확장 작업 등을 통해 지난 5월30일 완전유해로 최종 수습할 수 있게 됐다.
국방부에 따르면 이번 신원 확인은 고인이 참전 당시 3세였던 아들 남궁왕우(69)씨가 지난 2008년 등록했던 DNA를 통해 최종 확인할 수 있었다.
남궁왕우씨는 11년 전인 지난 2008년 2월 유가족 시료채취 홍보를 보고 아버지를 찾기 위해 국군수도병원에서 직접 혈액검사를 실시했다.
화살머리고지 발굴 유해에 대한 유전자 검사를 담당하고 있는 국방부조사본부는 전날인 20일 최종적으로 신원확인 작업을 마치고 통보했다.
남궁왕우씨는 "지금 이 순간 아버지를 찾았다는 생각에 꿈인지 생시인지 떨려서 말을 하기 힘들다"며 벅찬 감정을 감추지 못했다.
고인의 여동생 남궁분(83)씨는 "살아서 고생만 하다가 군에 가서 허망하게 돌아가셨는데, 지금이라도 오빠를 찾게 되어 너무 감사하다"고 말했다.
국방부는 유가족들이 추석을 함께 맞이할 수 있도록 귀환행사를 추석 전에 거행할 계획이다. 유해는 유가족들과 협의를 거쳐 추후 국립현충원에 안장할 예정이다.
허욱구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장은 "국가를 위해 헌신한 마지막 한 분까지 찾는 것이 국가의 마땅한 책무이나 아직 12만여 명을 수습하지 못했고 수습한 1만여 명 또한 신원확인을 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우리의 호국영웅들을 가족의 품으로 모시기 위해서는 유가족들의 유전자 확보가 중요하다"며 국민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를 당부했다.
국방부는 "발견되는 유해와 유품에 대해 최고의 예우를 다해 수습함으로써, 호국의 영웅 마지막 한 분까지 하루 속히 가족의 품으로 모실 수 있도록 6·25전사자의 유해발굴과 신원확인을 위한 노력을 더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지난 20일까지 화살머리고지 일대에서 발굴된 유해는 총 1488점이며, 유품은 4만3155점이다.
한편 현재까지 신원이 확인되지 않은 미수습 전사자는 13만3000여 명에 이르는 것으로 전해진다. 이 가운데 시료채취에 동참한 유가족은 3만7300여 명에 불과해 DNA 확보가 절실하다.
국방부는 6·25 미수습전사자 유가족 중 친·외가 8촌 이내 친척이 DNA 시료채취에 참여만 해도 1만원을 포상금으로 지급하고 있다.
특히 해당 DNA가 발굴된 유해와 일치해 신원 확인에 직접적인 도움을 주었을 때는 심의를 거쳐 최고 1000만원 이내의 포상금이 지급된다.
DNA 시료채취는 가까운 보건소와 군병원 등을 방문해 간편한 방법으로 하면 된다. 국방부유해발굴감식단(1577-5625)으로 전화하면 방문 채취도 가능하다. 6·25 전사자 명단은 전쟁기념관 홈페이지(
www.warmemo.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