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욕심 버리니 행복한 전원생활 시작됐어요”

시니어의 로망 전원생활! 어떻게 준비할까?
가족과 사전의 충분한 의논 필수
진출입로, 인프라 조성 여부 확인


은퇴를 앞둔 젊은 시니어, 도시 생활에 지친 은퇴 노인 부부의 가장 큰 꿈은 아마도 열에 아홉은 ‘전원생활’ 혹은 귀농일 것이다.

‘전원생활’이나 ‘귀농’ 하면 낭만, 여유로움, 싱싱한 채소, 푸근한 농민들과의 교류 이런 단어들을 먼저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현실은 그렇게 녹록한 것만은 아니며 오히려 더욱 더 현실을 정확히 보고 치밀하고 세밀한 준비 작업과 마음가짐이 필요하다.

대기업 퇴직 후 부인과 경기도 용인시 포곡읍 마성리 에버힐스 전원주택단지의 직접 건축한 주택에서 행복한 노후를 보내고 있는 김상우(69세), 안명순(65세) 부부에게 ‘슬기로운 전원생활’에 대해 배워보자.

전원생활을 시작하게 된 동기
우리 인생의 20년은 교육, 30년은 직장생활, 나머지 30년은 나 자신만의 시간인 것 같다.
‘30년의 노후 시간을 어떻게 보람있게 보낼까’가 사람들의 최대 관심사이자 로망의 하나다. 대기업에서 2005년 퇴직했는데 직장 퇴직하기 5년 전, 퇴직 후 노후를 어떻게 지낼까 고민했다.  

농촌에서  보낸 어린시절을 떠올렸고 전원생활 준비를 위해 퇴직 후 조경기능사 자격증도 취득했다.
당뇨, 지방간 등 지병이 있었기 때문에 건강을 위해서라도 도심을 벗어나고 싶었고 계절의 변화를 느끼면서 작은 텃밭과 화단을 가꾸며 살아가자는 부인의 의견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고등학교를 졸업할 때까지 경상북도 경산에서 생업으로 농업을 하시는 부모님 슬하에서 농사를 지었기 때문에 귀농보다는 전원생활을 하고 싶었다.  하지만 전원생활이 만만하지 않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에 사전에 많은 준비를 했다.

조언을 하자면 욕심을 앞세워 땅도 집도 크게 시작하면 일에 치어 빨리 싫증날 수도 있고 돈을 많이 들이게 되면 전원생활이 아닌 집과 땅에 매여 살게 된다.

도시에 살던 사람에게는 20여 평의 텃밭도 정원을 가꾸는 것도 쉽지 않은 일이다. 잡초 뽑는 일도 중노동으로 느껴지고 시간투자도 생각보다 많이 해야 한다. 그렇게 되면 전원생활의 즐거움이 고통이 될 수도 있다.

경기도 용인에 정착하게 된 동기
주택지 구입을 위해 약 2년간 전원생활을 가장 많이 시작한다는 양평을 비롯해 수도권 접근이 용이한 남양주, 용인 등 세 지역을 두고 고민했다.

주택은 1층 30평, 2층 15평 규모이며 땅값과 건축비가 각각 2억5천만원 정도 들었다.
전원주택지 선택을 위해 다음과 같은 6가지 사항을 고려했다.

1) 최소 20가구 이상의 전원주택단지일 것 – 일반 농촌의 농가주택 안 토지는 원주민의 텃세, 기득권 주장, 일방적 지원 요구 등의 문제점이 있다.
2) 도시에서 30분 이내 거리
3) 진출입로가 확보된 도로
4) 배산임수의 남향이면 더욱 좋다(용인의 전체 지형은 금계포란(金鷄抱卵) 풍수지형이다)
5) 우천시 배수, 낙석을 고려해 평지보다 높은 곳
6) 인프라 구축이 용이한 곳 – 전기, 통신, 상하수도시설, 병원, 교통여건 등


위의 여섯 가지 요건에 가장 적합한 곳이 현재 거주하고 있는 용인시 포곡읍 마성리 에버힐스 전원주택단지였다.

전원생활을 시작하기 전 어떤 준비가 필요한가

1) 가족과 사전에 충분히 의논해야 한다
자연에 대한 막연한 동경과 목가적인 분위기만을 생각하고 전원생활을 시작한 경우 실패해 다시 도시로 돌아오는 사람도 많다. 전원생활은 꿈이 아닌 현실이다. 낭만적이고 목가적인 생활의 이면에는 불편함을 감수하며 살아야 한다. 특히 부부 사이의 의견과 자녀와의 의견 조율이 중요하다.

2) 전원주택 단지가 아닐 경우 마을 주민과 융화
농촌에서 원주민들과 융화하지 못하면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 농촌마을은 나름대로 관습과 전통이 있어 도시인들의 상식으로는 이해가 되지 않아 서로 대화가 안될 경우도 있다.

원주민들과 원만한 관계를 풀지 못해 마음 고생을 하는 경우가 많고 결국 농촌을 떠나는 경우도 종종 있다.
시골 사람들은 자신들과 같은 모습으로 살겠다는 사람은 도와주려고 하는 점도 많다. 따라서 서로 이해하고 화합하여 어울려 살려는 열린 마음이 필요하다.

3) 연습해 보는 지혜가 필요하다
전원생활에 자신이 없는 사람은 미리 연습해 볼 필요가 있다. 생활하다 보면 예기치 못했던 문제가 생기는데 자신이 생각했던 환경이 아닐 수도 있어 마음고생과 갈등이 생길 수 있다. 우선 전원주택을 임차해 1년은 양평에서, 1년은 용인에서 살아보거나 주말농장을 운영해 보는 것도 최종 확신을 위한 사전연습이 될 수 있다.

4) 올인과 욕심은 금물
전원생활에 임할 때 욕심을 내는 것은 금물이며 자신의 모든 것을 올인하여 땅과 집의 덩치를 무조건 크게 키우지 말아야 한다.

전원주택 건축 전 어떤 준비가 필요한가
전원주택을 건축하기 전에 나는 어떤 집을 지어야겠다는 개념부터 정립하는 것이 좋다. 주택 건축사와 계약하면 각 사양마다 본인의 요구 사항이 제대로 반영되었는 지를 확인해야 한다. 즉 집 전체의 레이 아웃, 평면도, 창문 형태, 지붕의 재질과 모양 등.
그렇지 않을 경우 입주자의 주택을 짓는 것이 아니라 건축업자의 주택을 짓는 결과가 나올 수 있다.

동네 주민, 원주민들과 잘 지내는 비결은
에버힐스 전원주택단지는 현재 30가구가 생활하고 있는데 대부분 서울 등 도시에서 이주해온 교수, 대기업 임원 출신, 자영업자 등으로 서로 동질감과 전원마을 공동체 의식이 있어 아무런 문제가 없다. 또한 옆 마을의 동네 주민들과도 관계를 원만하게 하기 위해 마을 반상회 등에 적극 참여해 어르신들에게 선물도 드리고 농작물 직접 구입해주기, 마을 도로 화단정리 참여 등으로 화합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전원생활을 꿈꾸고 있는 시니어들께 조언을 한다면
시니어들은 산업화의 주역으로 우리나라의 경제 성장을 여기까지 끌어올린 사람들이다. 나이가 들면서 점점 흙과 가까워지고 싶은 마음이 드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남은 인생을 자연과 함께 즐길 것을 권한다. 수십억 원대의 APT를 지키고만 있지 말고 처분하면 전원주택 단지 구입, 주택 건축 등을 하고도 여유있는 여생을 즐길 수 있다.

앞으로의 계획이 있다면
용인의 전원주택 생활도 올해로 16년째로 나이가 칠순을 바라보고 있다. 고향인 경북 경산으로 가서 새로운 전원주택을 지어 남은 여생을 보낼 계획이다. 흙냄새 솔솔 나는 고향의 정취를 느끼며 흙벽돌집을 짓고 연못도 만들어 닭, 오리, 거위도 길러볼 예정이다.

강현주기자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