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저소득층 소득 3년만에 최대↓…재난금 빠지자 악화

계청‘20212분기가계동향조사’발표 - 1분위소득6.3%↓…공적이전소득감소
고소득층 월 924.1만원 벌어…1.4% 증가
1분위 월평균 97만원 벌어 115만원 지출

정부가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안을 발표한 지난 6일 오전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 원각사 무료급식소에서 어르신들이 식사를 하고 있다.

정부가 지난해 지급한 전 국민 재난지원금 효과가 빠지면서 저소득층과 고소득층 간의 소득 분배 격차가 3분기 만에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하위 소득 계층은 근로·사업·재산소득 등이 모두 증가했음에도 정부의 지원금이 큰 폭으로 줄면서 전체 소득이 3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쪼그라들었다. 반면 최상위 소득계층은 유일하게 소득이 늘어난 모습을 보였다.

통계청은 19일 이러한 내용을 담은 '2021년 2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통계청은 지난해 1인 가구 비중이 30%를 초과하는 등 사회적 변화를 고려해 올해부터 농림어가를 포함한 전국 1인 이상 일반 가구를 대상으로 조사 범위를 넓혔다.

1분위 공적이전 22.5% 줄자…전체 소득 감소 전환

지난 2분기 소득 1분위(하위 20%)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96만6000원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6.3% 쪼그라들었다. 이는 동분기 기준으로 2018년(-16.7%) 이후 3년 만에 최대 감소다. 전체 분기 기준으로는 2018년 4분기(-21.3%) 이후 소득 감소 폭이 가장 컸다.

1분위 가구 근로소득은 21만2000원으로 1년 전보다 19.6% 증가했다. 사업소득(11만1000원)과 재산소득(1만원)도 각각 16.1%, 41.1% 늘었지만 이전소득(62만5000원)이 15.3% 줄어 전체 소득을 끌어내렸다.

사적 이전소득(17만7000원)은 10.5% 늘었으나 작년 2분기 전국민 재난지원금 지급에 따른 기저효과로 공적 이전소득(44만8000원)이 22.5% 감소하면서다. 전국민 재난지원금 효과가 빠지자 2분위(236만5000원) 가구, 3분위(366만1000원) 가구, 4분위(519만2000원) 가구의 소득도 각각 0.9%, 0.7%, 3.1% 뒷걸음질했다. 

반면 5분위(상위 20%) 가구의 소득은 924만1000원으로 전년보다 1.4% 늘며 유일하게 소득이 증가한 모습을 보였다.

근로소득(642만2000원)이 4.8% 증가한 영향이 컸다. 여기에 사업소득(173만4000원)이 1.3% 증가했으며 배당소득, 이자소득 등 재산소득(13만4000원) 또한 127.7%나 늘어난 영향도 반영됐다. 다만 재산소득은 금액이 적어 오차가 크기 때문에 해석에 유의해야 한다고 통계청은 밝혔다.

정동명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5분위 가구의 근로자 가구 비중이 증가했으며 임금·상여금 상승 등의 영향으로 근로소득이 증가하면서 소득이 늘었다"며 "공적 이전소득은 감소했지만, 전체 5분위 가구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적어 상대적으로 영향을 덜 받았다"고 설명했다.

고용시장이 활기를 띄고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로 자영업 업황 등이 개선되면서 전 소득계층의 근로·사업·재산소득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다만 자영업자 가구 비중이 감소하면서 3분위(66만1000원) 가구만 유일하게 사업소득이 12.7% 감소했다.

1분위 월평균 34만1000원 적자…5분위 278만7000원 흑자

2분기 가계지출은 5분위가 645만4000원으로 전년보다 8.2% 증가하며 전 소득계층 중 가장 큰 증가 폭을 보였다. 1분위 가구는 전년보다 6.0% 늘어난 130만7000원으로 집계됐다. 2분위(204만9000원)와 3분위(282만8000원)는 각각 5.2%, 1.4% 늘었지만 4분위(389만7000원)는 1.9% 뒷걸음질했다.

이 중 소비지출의 경우 1분위 가구가 115만3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분기보다 7.0% 증가했다. 5분위는 8.0% 증가한 443만5000원으로 나타났다.

비소비지출은 1분위가 1.5% 감소한 15만4000원이었으나 5분위는 8.9% 늘어난 201만9000원이었다. 비소비지출은 조세, 연금기여금, 사회보험, 이자보험 등 의무성이 부여된 지출이나 가구 또는 비영리 단체 등으로 대가 없이 이전하는 지출을 의미한다.

1분위 가구의 소비지출 비중은 식료품·비주류 음료(21.2%), 주거·수도·광열(17.8%), 보건(13.2%), 교통(9.8%) 순이었다. 5분위 가구는 교통(15.0%)이 가장 많았으며 음식·숙박(13.2%), 식료품·비주류 음료(12.2%)가 뒤따랐다.

1분위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소득-비소비지출)은 81만2000원으로 7.2%나 감소했으나 5분위는 722만2000원으로 0.5% 감소하는 데 그쳤다. 처분가능소득은 세금, 공적 연금 등 의무적으로 납부해야 하는 돈을 제외하고 자유롭게 소비할 수 있는 소득을 말한다.

1분위 가구는 월평균 34만1000원의 적자를 냈지만 5분위 가구는 월평균 278만7000원의 흑자를 보였다. 흑자액은 처분가능소득에서 소비지출을 뺀 금액으로 저축이나 자산 구입, 부채 상환 등에 사용할 수 있는 금액을 의미한다.

처분가능소득에서 소비지출이 차지하는 비율인 평균소비성향은 1분위 가구의 경우 전년보다 18.8포인트(p) 상승한 142.0%로 나타났다. 5분위 가구는 전년 같은 분기 대비 4.8%p 올라간 61.4%였다.

재난지원금 효과 빠지자…분배지표 3분기 만에 악화

저소득층과 고소득층 간의 소득 분배 격차는 3분기 만에 다시 악화된 모습이다.

국민 소득 분배 상태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 중 하나인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5.59배로 1년 전(5.03배)보다 0.56배p 악화됐다.

5분위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이 1분위보다 5.59배 많다는 의미다. 5분위 배율은 지난해 4분기에 이어 올해 1분기까지 2분기 연속 개선됐으나 3분기 만에 다시 악화된 셈이다.

시장 소득을 기준으로 한 5분위 배율은 12.51배로 1년 전(14.38배)보다 1.87배p 개선됐다. 근로소득, 사업소득, 재산소득, 사적 이전소득을 합해 사적이전지출을 뺀 값인 시장소득을 기준으로 계산하면 5분위 배율에서 정부의 소득 재분배 정책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12.51배에서 처분가능소득 5.59배를 뺀 6.92배p가 정부 정책 효과다.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5분위의 소득이 1분위보다 몇 배 많은지를 뜻한다. 이 지표는 수치가 클수록 소득 불평등의 정도는 심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2인 이상 비농림어가 기준으로 보면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4.67배로 1년 전(4.25배)보다 0.42배p 악화됐다.

정 국장은 "2분기 고용 호조, 자영업 업황 개선으로 근로, 사업 소득이 증가하는 등 시장은 전반적으로 회복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작년 5월 지급된 전 국민 재난지원금 지급에 대한 기저효과가 크게 작용해서 공적이전소득 감소가 하위 분위에 큰 영향을 미쳐 소득 격차가 커졌다"고 분석했다.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