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들이 정년퇴직 등으로 감소하는 청소·경비 노동자 자리를 단기 근로자, 즉 아르바이트생으로 대체하면서 청와대가 중재에 나섰으나 대학과 노조는 입장변화가 없다.
16일 서울 시내 주요 대학들은 “기조 변화는 없을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이들 대학은 지난해 청소·경비 노동자들의 임금을 현행 최저임금보다 높은 7780원으로 인상한 뒤 올해 들어 정년퇴직하는 노동자의 자리를 알바생으로 채우고 있다.
각 대학 노동자들로 노동조합을 결성한 민주노총은 대학들이 임금 인상에 따른 비용 증가를 인원 감축으로 보전하려는 것이라며 반발하고 나섰다. 지난 15일 반장식 청와대 일자리수석이 연세대를 방문해 "대학이 사회적 책임감을 갖고 이 문제에 접근해줬으면 좋겠다"고 말했지만, 대학들의 반응은 차가웠다.
연세대의 한 고위 관계자는 “기존에 계시던 노동자분들께 전혀 피해를 주지 않으면서 비용을 줄일 방법을 찾은 것”이라며 “인위적 구조조정이 아니라 정년퇴직에 따른 자연 감소”라고 강조했다.
이 관계자는 “이 문제는 협상할 수 있는 성격의 것이 아니며 우리가 할 수 있는 가장 최소한의 방법을 쓰는 것”이라며 “정년 도래하는 직원 자리를 줄이겠다는 부분은 지난해 임금 협상 당시 노조 측에 설명했던 사안”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70세 정년 보장, 용역업체 변경 시 인원 승계, 인위적 구조조정 금지 등 민주노총의 요구는 모두 받아들였다”며 “다만 정년 도래 시 신규 인력을 뽑으면 비용이 너무 늘어나니 그런 부분은 경영 효율화를 하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노조는 청와대의 중재 노력을 반기면서 대학들의 태도를 비판했다.
연세대와 고려대의 청소·경비노동자 노조를 이끄는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서경지부 관계자는 “정부는 국고보조금을 받는 대학이 사회적 책무를 다할 수 있도록 대학 평가에 비정규직 비율, 노동조건 점검 등도 넣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
글쓴날 : [2018-01-18 14:09:20.0]
Copyrights ⓒ 노년신문 & oldagenew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