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1500년전 고령 대가야 유물 ‘햇빛’

고령 지산동 고분군 발굴조사 결과… 고분 74기·유물 1천여 점 나와
지산동 고분군에서 나온 유물들. 왼쪽 위부터 시계 방향으로 금동 관모, 환두대도, 투구, 재갈.[대동문화재연구원 제공]
대가야 지배계층의 집단 무덤인 경북 고령 지산동 고분군(사적 제79호)에서 1500년 전께 제작된 말등 기꽂이와 철제 투구 등 가야 무사의 모습을 유추할 수 있는 각종 유물이 쏟아져 나왔다.

고령군과 대동문화재연구원(원장 조영현)은 지산동 고분군에 탐방로를 조성하고 CCTV를 설치하기 위해 지난해 10월부터 발굴조사를 진행한 결과, 5세기 중반부터 6세기 후반 사이에 만들어진 고분 74기와 유물 1000여 점을 찾아냈다고 15일 밝혔다. 지산동 고분군에는 봉토분 700여 기가 있으며, 봉분이 없는 무덤을 합하면 1만 기에 달하는 고분이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가야사 조사가 문재인 정부의 국정과제에 포함된 상황에서 대가야의 유물이 대규모로 나오면서 가야에 대한 관심이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배성혁 대동문화재연구원 조사실장은 “이번에 나온 무덤은 비교적 크기가 작은 소형분이 많다”며 “대부분 도굴된 상태지만, 적지 않은 유물을 확보했다”고 말했다.

병사가 쓰는 도구인 무구(武具)와 말을 부릴 때 사용하는 도구인 마구(馬具)는 덕곡재를 기준으로 북쪽 구역에 있는 제19호묘와 제27호묘, 남쪽 구역의 제3호묘에서 나왔다. 이곳에서는 철제 투구를 비롯해 등자(발걸이), 재갈, 말안장, 말등 기꽂이가 출토됐다.

이 가운데 물결이나 뱀을 연상시키는 말등 기꽂이는 길이 약 60㎝로, 지산동 제518호분에서도 발견된 바 있다. 유사한 모양의 말등 기꽂이는 고구려 벽화고분인 통구 12호분이나 쌍영총 벽화에서 확인된다.

배 실장은 “말등 기꽂이는 안장 뒤쪽에 부착하고 커다란 깃대를 꽂아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이번에 나온 기꽂이는 제518호분 유물보다 굴곡이 더 심한 편”이라고 말했다.

조사단은 고분에서 출토된 철제 무기와 마구가 대가야 기마무사의 모습을 복원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이번 조사에서는 남쪽 구역의 제391호분을 둘러싸듯 조성된 무덤 중 한 기에서 보존 상태가 매우 좋은 인골이 발견됐다. 이 인골은 똑바로 누워 있었는데, 신장이 160㎝를 넘는 성인으로 추정됐다.

배 실장은 “도굴되지 않아 인골이 매우 잘 남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며 “피장자의 성별이나 신분, 매장 풍습 등을 알려면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북쪽 구역의 제2호 횡구식석실묘(橫口式石室墓·앞트기식돌방무덤)에서는 금동 관모, 삼엽문 환두대도(環頭大刀·둥근고리자루큰칼), 말방울, 철제 갑옷 조각 등이 출토됐다.

조사단은 금동 관모는 백제 관모와 형태가 유사하고, 삼엽문 환두대도는 지산동 제45호분에서 출토된 유물과 비슷하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환두대도는 신라 권역에서 나온 바가 많아 가야가 백제, 신라와 교류했다는 사실이 다시 한 번 입증됐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이번 조사에서는 가야의 소형분에서 처음으로 순장의 풍습이 드러났다. 소형분 3기에서 주곽(무덤 주인공과 부장품을 묻은 곽)과 순장곽(순장자와 부장품을 묻은 곽)이 각각 1기씩 발견됐다. 이전까지 중형분 이상의 큰 고분은 주곽 외에 곽을 여러 개 두는 다곽식 무덤으로 조사됐다.              

강현주 기자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