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극단이 7일 명동예술극장 무대에 올리는 연극 ‘3월의 눈’은 국립극단의 대표 레퍼토리 중 하나다.
배삼식 작가가 쓴 이 작품은 손자를 위해 평생을 일궈온 터전이자 마지막 남은 재산인 한옥을 팔고 떠날 준비를 하는 노부부 ‘장오’와 ‘이순’의 이야기를 통해 사라져가는 것과 시간의 흐름 속 인생의 의미를 이야기한다.
고(故) 장민호·백성희 배우를 위해 헌정됐던 연극 무대에 이제는 그들을 잇는 후배 배우들이 무대에 선다. 주인공들이 80대로 설정된 만큼 아무나 할 수 없는 역에 선택된 이들은 원로배우 오영수(74)와 정영숙(71)이다. 오현경-손숙과 함께 더블캐스팅으로 무대에 선다.
작품에는 특별한 사건이나 갈등이 없다. 대사도 많지 않아 연륜에서 묻어나오는 연기가 아니면 밋밋하게 흘러가기 쉬워 배우의 역할이 특히 중요한 작품이다. 또 장민호-백성희라는 대배우들이 섰던 작품이라 연기 베테랑들인 이들에게도 쉽지만은 않은 무대다.
2011년 초연 무대 때 장민호와 더블캐스팅으로 출연했던 오영수는 “장민호 선생님 연기하던 게 자꾸 생각난다”고 했다.
“초연 때는 장민호 선생님과 나이 차이가 났으니까 내가 좀 젊은 게 아닌가 싶었죠. 이제는 장 선생님 연기하던 게 자꾸 뇌리에 남아요. 장 선생님이 87살에 하셨죠. 그런데 저도 이제 74세이다보니 인생이 느껴지는 나이가 되서 적응하는 데 큰 불편함은 없어요.
이 작품은 말과 말 사이에 숨어있는 침묵의 언어를 작가가 요구하는 것 같은데 초연 때는 그걸 느끼는 게 힘이 들었어요. 그게 나한테 체화되지 않아 부담스럽고 짜증나고 그랬는데 초연 때와는 조금 달라졌어요. 70대와 60대가 세상을 바라보는 게 다르거든요. 이제는 버리고 간다는 것, 주고 간다는 게 결코 나쁜 게 아니라는 게 느껴지는 나이니까요.”
정영숙 역시 ‘너무 젊어보일까’걱정이라고 했다.
“오히려 작품에서 가장 신경쓰이는 건 연륜에서 나오는 모습을 내기가 아직 이르구나 싶어요. 이 작품은 연기보다도 연륜에서 나오는 삶 자체가 보여야 하거든요. 대사가 많은 것도 아니고 해서 더 그렇죠. 2015년 공연을 봤는데 그땐 (‘장오’역을 맡은) 박근형 배우가 너무 젊은 것 아니냐는 생각을 했어요. 삶 자체가 보여야 하는 게 가장 많이 신경쓰이더라고요.”
두 사람의 연기 경력을 합하면 100년이 넘는다. 오영수는 군대 제대 이후 1967년 연기를 시작해 지난해가 연기 경력 50년이었고 대학교 4학년 때인 1968년 TBC 탤런트로 데뷔한 정영숙은 올해가 연기한 지 50년이 되는 해다.
두 사람은 여전히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지만 나이 든 배우들이 설 자리가 없어지는 것에 대해 아쉬움을 나타내기도 했다.
연기 한 길을 걸어온 원로배우들은 후배들을 위한 당부도 아끼지 않았다.
“연극을 하다 TV로 가더라도 어떤 생각을 하고 연기를 계속해나가느냐가 중요하죠. 여기서(연극무대에서) 잘해서 TV에 가는 것도 좋지만, 거기에 함몰돼서 한 5∼6년 가다 보면 지향점이 없는 친구들은 반짝하고 소모품처럼 사라지는 것도 봤어요. TV도, 영화도 하되 어떤 마음을 가지고 하느냐가 가장 중요해요. 허겁지겁하다 보면 자기중심을 잃어버릴 수 있거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