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신령하고 용맹한 ‘韓日中 호랑이’ 한자리에

국립중앙박물관, ‘동아시아의 호랑이 미술’ 특별전
현존하는 조선시대 최대 호랑이 그림.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신통력을 지닌 기백 있는 영물(靈物)이자 귀신을 물리치는 용맹한 동물인 호랑이는 동아시아 미술에서 어떻게 표현됐을까.

국립중앙박물관은 일본 도쿄국립박물관, 중국 국가박물관과 함께 한국, 일본, 중국의 호랑이 미술 작품 105건, 145점을 선보이는 특별전 ‘동아시아의 호랑이 미술 - 한국·일본·중국’을 3월 18일까지 연다.

이번 전시는 평창 동계올림픽 개최를 기념해 올림픽 마스코트 ‘수호랑’의 주인공인 호랑이를 조명하기 위해 마련됐다. 
국립중앙박물관이 1998년 이후 20년 만에 여는 호랑이 전시이자 한일중 국립박물관이 공동 개최하는 세 번째 특별전이다.

전시에는 진귀한 작품이 대거 나왔다. 단원 김홍도가 그린 ‘송하맹호도’(松下猛虎圖)와 ‘죽하맹호도’(竹下猛虎圖), 작자 미상의 18세기 ‘맹호도’(猛虎圖) 등 조선 후기의 중요한 맹호도 3점이 처음으로 한자리에서 선보인다.

또 현존하는 조선시대 호랑이 그림 중 가장 큰 작품도 비슷한 크기의 용 그림과 함께 공개된다. 이 그림은 한 변의 길이가 약 2.2m로, 조선시대 관청의 문이나 대청에 붙인 세화(歲畵·새해를 축하하는 그림)로 추정된다.

일본 작품으로는 16세기 말부터 17세기 초까지 활동했던 소가 조쿠안(曾我直庵)과 18세기 화가인 가노 미치노부(狩野典信)의 ‘용호도’(龍虎圖) 병풍이 출품됐고, 중국 작품은 자기로 만든 호랑이 모양 베개와 3000 년 전에 제작된 호랑이 장식 꺾창을 볼 수 있다.

아울러 박종우 감독이 러시아와 중국에서 촬영한 호랑이 영상으로 제작한 다큐멘터리 ‘호랑이, 우리 안의 신화’가 상영된다.

전시는 5부로 구성된다.

1∼3부는 ‘한민족의 신화’ ‘무용(武勇)과 불법(佛法)의 수호자’ ‘벽사의 신수(神獸)’라는 개념으로 한국, 일본, 중국의 호랑이 미술을 소개한다. 4부는 동아시아 3국의 호랑이 미술 중 걸작들로 꾸며졌고, 마지막 5부에서는 근현대 호랑이 미술 작품을 만나볼 수 있다.

박경은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사는 “호랑이를 수호신이자 군자(君子)로 여기는 생각은 중국에서 시작돼 한국과 일본으로 전파됐다”며 “한국에서는 특히 해학적이면서도 인간미가 넘치는 호랑이 민화가 발달했고, 호랑이가 서식하지 않았던 일본에서는 불교나 도교의 도상에 용과 호랑이를 결합한 그림이 유행했다”고 설명했다.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